카테고리 없음

더핑크퐁컴퍼니 & 그린광학 수요예측 비교와 분석

리디아2 2025. 11. 5. 21:16
반응형

그린광학과 핑크퐁컴퍼니 수요예측

 

11월 5일 증시는 불안정했지만 공모주인 노타는 연일 강한 힘을 보여준 날이었습니다. 이 글은 더핑크퐁컴퍼니와 그린광항의 청약 일정, 수요예측 결과, 종목별 상세 분석 결론 및 투자전략을 정리해 보았습니다.

청약 일정

청약일: 11월 6일(목) ~ 11월 7일(금)

환불일: 11월 12일(화)

상장일: 그린광학 11월 17일(월), 더핑크퐁컴퍼니 11월 18일(화)

두 종목 모두 단독 상장 예정입니다.


수요예측 및 의무확약 비교

기관 참여 수: 더핑크퐁컴퍼니 약 2,300개, 그린광학 약 2,200개

의무 확약률: 그린광학 65.4% (예상 최종 약 90%), 더핑크퐁컴퍼니 30.4% (예상 최종 약 50%)

확약 퀄리티: 그린광학은 15일·1개월·3개월 확약이 골고루 분포하여 양호, 더핑크퐁컴퍼니는 대부분 15일 확약으로 조금 아쉬운 결과입니다.


더핑크퐁컴퍼니 요약 분석

공모가: 희망 공모가 상단 38,00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.

시가총액: 약 5,400억 원 (대형 종목)

주관사 : 미래에셋, 삼성증권

청약일정 : 11월 6일, 7일

환불일  : 11월 11일 (환불인 4일로 주말로 인해 긴 편입니다.)

기관경쟁률 : 615.89:1

상장일 : 11월 18일

최소청약가능수량 :10주(증거금 190,000원)

환매청구권 없음

 

사업모델

핑크퐁 캐릭터 IP 기반 — 유튜브 영상, 공연, 라이선스, 장난감 판매 등 다각적 사업 전개하고 있습니다.

 

실적은 2021년 크게 성장했으나 최근 성장 정체 및 금년 역성장 가능성 관찰됩니다.

사용된 평가방식은 EV/EBITDA 방식으로 공모가 산정. 유사기업(SAMG 엔터) 대비 저평가로 보이는 면 존재합니다.

상장일 예상 유통물량 약 30% (약 439만 주), 유통금액 약 1,500억 원으로 부담되는 수준으로 보입니다.

기존 주주 취득가가 공모가 대비 절반 이하로 추정되어 상장일 매도 압력 우려되기도 합니다.

 

종합판단: 실적 정체와 높은 유통 부담으로 인해 큰 시세 상승 기대는 어려워 보입니다.


그린광학 요약 분석

공모가: 희망 공모가 상단 16,00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.

시가총액: 약 1,875억 원

주관사 : 신영증권 

청약일정 : 11월 6일, 7일

환불일  : 11월 11일 (환불인 4일로 주말로 인해 긴 편입니다.)

기관경쟁률 : 962.34:1 

상장일 : 미정

최소청약가능수량 :50주(증거금 400,000원)

계좌개설이 10월 31일까지로 아직 계좌가 없으신 분들은 이번 청약에는 참여하실 수 없습니다.

 

사업모델

렌즈 전문 기업 — 방위산업 중심으로 디스플레이, 반도체, 항공우주 등 다양한 산업에 렌즈 공급하고 있습니다.

 

실적은 매출은 매년 성장 중이나 아직 흑자 규모는 크지 않고 기술특례 상장으로 2027년 실적 추정 기반 공모가 산정되었습니다.

상장일 예상 유통물량 약 28% (약 328만 주), 유통금액은 400억 원대 후반으로 양호합니다.

기존 주주 취득가가 공모가 대비 약 28% 낮아 상장일 매도 가능성 존재합니다.

 

종합판단: 수요예측·확약 퀄리티·유통 구조를 종합할 때 공모가 대비 두 배 이상 시세 형성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.


결론 및 투자전략

종합적으로 그린광학이 수요예측, 확약률, 유통물량 측면에서 우위에 있어 시장의 관심과 시세 형성 가능성이 더 높아 보입니다.

그린광학 비례 청약까지 참여 고려해도 무난해 보이고 더핑크퐁컴퍼니는 균등 배정 청약만 고려하시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.

확약률·유통구조를 고려하면 그린광학 우세한 편입니다. 

 

자료 확인하시고 잘 고려하시어 청약하시기 바랍니다.

모든 분들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.

 

" 투자 판단은 개인의 몫이며, 이 자료는 투자 권유가 아닌 정보 제공 목적으로 작성되었습니다."

반응형